이제는 달리면서도 충전할수 있는 도로가 생긴다!?
도로에서 주행을 하고 있는 전기차에 자동으로 전기를 공급하는
무선 충전 도로가 조만간 상용화될 것으로 알려졌다.
다음 달(7월)부터는 무선 충전 버스가 국내에서 첫 시동을 걸며
완성된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배터리의 용량과 무게, 비용 등
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무선 충전 도로로 주목하고 있다.
2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총 299건의
전기차 주행 중 무선 충전 특허 출원이 나왔다고 한다..
특히 2010년 10건에 불과했던 출원 건수는
2018년 들어 8년동안 총 4배 이상 증가한 건수가 되는 것이다.
특허 출원한 기술별로는
도로와 전기차의 코일 위치를 일치시키는 송수신 패드 기술이 169건(56.6%).
과금 시스템 60건(20%),
전기 자기장 방출 가이드 기술 36건(12%),
코일 사이 금속 이물질 감지 기술 34건(11.4%)
특히 특허 출원을 주도 한 곳은
현대자동차(46건), LG전자(7건), 한국 과학기술원(12건) 등
대기업과 연구소가 58%(178건)로 조사됐다.
무선 충전 도로는 이미 국내에서는 가동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한다.
올레브(OLEV·On-line Electric Vehicle)버스가
다음 달인 7월부터 대전 유성구 대덕 특구에서 주행을 시작한다.
올레브 버스는 2009년 한국 과학기술원(KAIST)이 개발한 무선 충전 전기차로 전기선이 매설된 도로 위에서 전기가 자동 충전될 수 있도록 개발됐다. 이 버스는 1분 충전으로 약 3㎞를 이동할 수 있다.
무선 충전 도로 장점
전기차에 큰 배터리를 실을 필요가 없다.
생산 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.
주행거리 개선은 물론 배터리가 차지하던 공간을 실내 자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무선 충전 도로 도입이 활발하다.
중국은 2018년부터 무선 충전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있다.
중국 산둥성은 산업 중심지인 지난시의
남부 순환도로 2㎞ 직선 구간을 태양광 패널로 전부 교체해 개통했다.
태양광 패널을 투명 콘크리트로 감싸서 파손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
태양광이 도로 아래 태양전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건설,
전기선과 각종 센서로 달리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구조다.
이스라엘 스타트업인 일렉트로드도 자체 개발한
무선 충전 시스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상용화에 들어갔다고 한다.
이 시스템은 도로 아래에 장착된 구리 코일을 사용하여 전기차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한다.
최근 스웨덴 고틀란드에 있는 1.65㎞ 공공도로와 이스라엘 텔아비브 인근 700m 도로에도 이
무선 충전 도로 시스템이 구축됐다. 최대 시속 60㎞까지 전기차가 주행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.
하지만 최대 관건은 초기 설치 비용이다.
블룸버그 통신의 정보에 의하면
중국의 산둥성 태양광 패널 도로의 경우 1㎡당 약 650만 달러(73억 원)가 투입된 것으로 추산했다.
한 업계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
전기차 산업이 날개를 펴기 위해서는 배터리는 물론 충전 인프라 사업도 모두 규모의 경제가 이뤄져야 한다,
인프라 건설 비용 절감이 현실화하면 향후 무인 충전 도로는 드론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도 적용 가능해질 것
이라고 설명했다.
혹시나 네이버 이용하시는 분 있으신가요~?
네이버에서는 또 다른 장르로 운영 중인데
음식일기와 하루 일기를 포스팅하고 있어요
시간 나실 때 방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~!
아이러니한아이러니 : 네이버 블로그
최근 오늘일기 챌린지로 하루 일기만 위주로 하고있네요. 일상 공유 및 음식리뷰 후기를 주로 다루고있습니다.
blog.naver.com
'정보 모음 > 신기한 과학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새로운 미래 자본으로 곰팡이가 주목되는 이유 (18) | 2021.06.21 |
---|